명의 - 소화기내과 김동준 교수 알콜성 간질환 간질환 증상 치료 원인 간질환의 종류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명의 - 소화기내과 김동준 교수 알콜성 간질환 간질환 증상 치료 원인 간질환의 종류

반응형

 

 

 

명의 - 소화기내과 김동준 교수 알콜성 간질환 간질환 증상 치료 원인 간질환의 종류

 

한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12월인데요. 좋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술 한잔은 삶의 위로가 되고 활력이 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술을 어울려 마시다 보면 절제하기 힘들다는 것인데요. 

출처 - 명의

술자리가 늘어나는 요즘 당신의 간은 안녕하신지요! 

 

간은 질환이 있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증상이 나타났다면 이미 간이 반 이상 손상됐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간을 침묵의 장기라고 부르고 있는데요. 

 

특히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처음 맞는 연말연시인 만큼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혹시 당신의 간도 소리없이 병들고 있지는 않은지 알콜성 간질환의 종류와 증상, 치료에 대해 EBS 명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명의

◈ 끊은 수 없는 유혹 한잔의 술! 

 

닭발집을 운영하는 50대 남성은  장사 준비를 하면서 목마를 때마다 막걸리 한 잔 그리고 손님이 권하는 술도 한 잔 마시다 보니 매일 하루에 한두 병씩 술을 마신다고 합니다. 

 

주변 사람들이 술을 끊으라 말리지만 술을 끊을 생각은 없다고 합니다. 

출처 - 명의

또 다른 50대 남성은 1년 전 간경병증 진단을 받았는데요. 사업이 기울면서 알콜에 의존을 하였고 술로 인해 간이 망가졌지만 이후에도 술의 유혹을 이기지 못해 술을 마셨다고 하는데요. 

 

그러다 얼마 전 간성혼수로 의식을 잃고 병원에 실려왔습니다. 

 

간의 딱딱한 정도를 검사하는 간 섬유와 수치는 약 15배가량 높고, 황달 수치는 정상보다 6배가 높았는데요. 

 

김동준 교수도 이번만큼은 단호하게 이제부터 절대 술을 안된다고 당부하였습니다. 

 

오랜 기간 술을 마셔온 환자들의 간 상태를 통해 술은 어떻게 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명의

◈ 지금도 소리없이 망가지고 있는 간! 

 

흔히 간을 침묵의 장기라고 부르는데요. 간이 심각하게 손상되기 전까지는 별다른 증상이나 통증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질환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술을 끊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황달, 간성혼수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나타나면 이미 그땐 간 상태를 돌이키기 어렵다고 하는데요. 

 

알콜성 간경병증을 앓고 있던 60대 한 남성은 20일간 혼수상태에서 기적적으로 깨어났는데요. 

출처 - 명의

쓰러졌다가 눈을 떠보니 20일이 지나 있었다고 말하는 그 남자는 머리와 등에 생긴 욕창이 생겼고 그것은 생사를 오갔던 20일의 시간을 증명해주고 있습니다. 

 

그가 죽음의 문턱을 넘나든 것은 간병변증으로 인해 독성물질이 온몸에 퍼지는 패혈성 쇼크가 나타났기 때문인데요. 

 

그는 기적적으로 생명을 되찾은 지금에서야 간경병증이 얼마나 무서운 병인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출처 - 명의

◈ 여성에게 더 위험한 술! 

 

일주일에 한 번씩 병원을 찾는 30대 여성이 있습니다. 

 

폐렴과 황달, 복수, 자발출혈 같은 알콜성 간질환의 합병증을 앓고 있는데요. 3년 전부터 술에 의존하기 시작했다는 그녀는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술을 마셨는데도 유독 치명적인 합병증이 나타났는데요. 

출처 - 명의

그 이유는 바로 여성이기 때문입니다. 남성보다 여성은 알콜에 더욱 취약하며 그 때문에 알콜성 간질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여성이 남성보다 알콜에 취약한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EBS 명의에서 알콜성 간질환의 위험성과 알맞은 음주 습관에 대해 알아볼 수 있습니다. 

 

◈ 명의 프로필 - 소화기내과 김동준 교수

 

▶ 명의 - 중앙대학교 병원 신경과 윤영철 치매 조기 진단 예방 알츠하이머병 치매에 관한 오해와 진실

 

명의 - 중앙대학교 병원 신경과 윤영철 치매 조기 진단 예방 알츠하이머병 치매에 관한 오해와

명의 - 중앙대학교 병원 신경과 윤영철 치매 조기 진단 예방 알츠하이머병 치매에 관한 오해와 진실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7.5%를 차지하고 있는 대한민국! 치매 환자 수도 꾸준히

hulk0713.tistory.com

 

반응형